전체 글
-
[기계안전기술사] 63회 2001년 기출문제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 2022. 11. 19. 15:46
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기계안전기술사 63회 2001년 □ 1교시 1. 도수율과 강도율의 공식을 기술하시오. 2. 용접 결함 중 구조결함의 발생원인 5가지를 드시오. 3.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의 평가순서 5가지를 쓰시오. 4. 인베스트먼트 주조(Investment Casting)에 의해 만들어진 기계부품을 열처리 (특히, 뜨임처리 즉 Tempering)할 때 얻어지는 이점을 안전의 관점에서 설명하시오. 5. 보일러의 장해 중 캐리오버(Carriover)에 대해 설명하고 발생원인 3가지만 드시오. 6. 절삭용 단인공구(바이트)에 사용되는 칩브레이커(Chip Breaker)의 용도와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시오. 7. 냉간가공과 열간가공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8. 기계설비의 안전장치..
-
[기계안전기술사] 출제기준 (2023.1.1.~2026.12.31)기계안전기술사 Study 2022. 11. 19. 15:40
첨부파일기계안전기술사 출제기준 (2023.1.1.~2026.12.31).hwp파일 ※ 출제기준 한글파일 첨부(출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 출제기준 적용기간 : 2023.1.1.~2026.12.31 출제기준 주요항목 □ 산업안전관리론 1. 산업안전의 기본이론 2. 안전관리체제 및 운영 3. 산업재해조사 및 예방대책 4. 무재해운동 등 안전 활동 5. 안전보건 경영시스템 6. 보호구 및 안전표지 등 □ 산업심리 및 교육 1. 인간의 특성과 안전과의 관계 2. 직업적성 및 산업심리 3. 안전교육 및 지도 4. 인간공학 및 행동과학 □ 산업안전 관련 법령 1. 산업안전보건법 2.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3. 기계설비의 산업표준 □ 기계·설비의 안전화 1. 기계설비의 위험점 2. 본질적 안전화 3. 위험..
-
[사고사례] 2022년 9월 중대재해 사례(산재 사망 노동자) - 82명건설장비 사고사례/건설장비 사고사례집 2022. 11. 19. 14:47
2022-09-01 물체에맞음 1 대구 달서구 / 16시 04분경 / 대구 달서구 소재 금속기계 제조업 공장 내에서 샤프트(원통형 철제품으로 약 300kg)를 가공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천장크레인을 사용하여 지그(샤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프트 원통에 뚜껑처럼 끼우는 부품)를 끼운 상태로 인양하던 중 결속이 제대로 되지 않은 지그가 샤프트와 분리되어 떨어지면서 노동자 A씨가 두부를 맞아 사망. 2022-09-01 떨어짐 1 충북 음성 / 11시 11분경 / 충북 음성군 원남면 소재 제조업 공장 내에서 코팅 기계 설치 작업 중 설치될 기계와 천장 패널 간 간섭유무 확인을 위해 지게차 포크에 팔레트를 연결한 후 노동자 A(40대)씨가 천장 패널 위로 올라가 확인하던 중 약 4m 높이에서 패널과 함께 바닥으..
-
[사고사례] 221117 은평구 육군 부대시설 오수관로 공사 중 토사에 매몰, 사망건설장비 사고사례/굴착기 사고사례 2022. 11. 18. 13:36
중대재해 사고속보(건설업) ○ 사고일시 : 2022.11.17. 오후 4:11분경 ○ 사고현장 : 서울 은평구 육군 모 부대 시설공사 현장 (공사금액 51억원) ○ 시공사 : 한원건설 (도급자: OO건설그룹, 발주처 : 군부대) ○ 사고경위 : 굴착기로 오수관로 설치작업을 위해 지반굴착(깊이 약 2M) 후 배관설치 작업 중 굴착상부에 적재해 놓았던 토사가 무너지면서 재해자가 매몰되어 사망 재해자는 구조 후 병원으로 후송했지만 결국 사망 ○ 피해자 : 한원건설 소속 작업자 (남자, 1961년생) 사망 1명 https://naver.me/xM826KHg 서울 은평 한원건설 시공 현장에서 노동자 사망 중대재해 발생한원건설그룹이 시공하는 현장에서 노동자가 작업 중 사망하는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해 정부가 사고원인 ..
-
[사고사례] 220927 파주시 제조업 공장, 지게차 포크 위 작업 중 추락 사망건설장비 사고사례/지게차 사고사례 2022. 11. 17. 14:16
중대재해 사고속보(제조업) ○ 사고일시 : 2022. 9.27 오후 4시경 ○ 사고장소 : 경기 파주시 ㅇㅇ 제조업 공장 (50인 미안 소규모 사업장) ○ 사고경위 : 공장 외부 덕트설비(마스크필터기계의 지름 80㎝짜리 외부덕트)를 철거하기 위해 재해자가 지게차 포크 위 팔레트를 얹은 뒤 그 위에서 덕트를 분리작업 중, 떨어지는 덕트를 잡으려다 지게차에서 2.5m 아래로 추락하여 병원 치료 중 11.14. 사망(1명) ○ 사고원인 : - 고소 작업시 지게차 포크 위에 올라가 작업 (불안전 행동 및 지게차 용도 외 사용) - 안전모 미착용 등 안전보호구 부재 ○ 피해내용 : 지게차 운전원 사망 1명 https://naver.me/5kXLio0t 작업 중 추락 노동자 50여일 만에 숨져…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
[사고사례] 2022년 10월 중대재해 사례(산재 사망 노동자) -74명건설장비 사고사례/건설장비 사고사례집 2022. 11. 16. 20:17
2022-10-01 떨어짐 1 경북 안동 / 10시 46분경 / 경북 안동시 남선면의 한 농로에서 노동자 A(90)씨가 경운기를 운전 중 2m 아래로 떨어져 119구급대에 의해 심정지 상태로 구조되어 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사망. 2022-10-01 떨어짐 1 2022,10,1(토) 전북완주소재 공장 상부 벽체 교체공사도중 재해자가 공사장비 연결전선을 들고 지붕위를 이동하다 밟은 썬라이트가 파손되어 7미터 아래로 추락. 10,6(목) 사망. 2022-10-02 떨어짐 1 울산 무거동 / 15시 18분경 / 울산시 무거동 도장공사 현장에서 차량형 고소작업대에 탑승하여 도장작업 중, 노동자 A씨가 몸의 균형을 잃고 약 10m 높이에서 떨어져 사망. 2022,10,2(일) 울산 남구 무거동 상가주택 도장공사 현..
-
[뉴스보도] 221109 화물차 산재 사망사고 70%는 적재·하역 중에 발생하역운반장비/화물자동차 2022. 11. 15. 08:58
최근 5년 동안 화물차에 의해 발생한 산재 사망사고 가운데 70% 이상이 화물을 싣거나 내리다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17∼2021년 화물차 산재 사망사고 127건 가운데 91건(71.7%)은 '적재·하역 중 사고'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하역 장비에 부딪힌 사고가 27건, 무너지는 화물에 깔린 사고가 25건, 화물을 하역·적재하다가 화물차에서 추락한 사고가 25건, 크레인 등으로 옮기던 화물이 떨어져 발생한 사고가 14건이었다. 특히 다양한 형태의 화물을 적재·하역하다가 화물이 쏟아지거나 무너지는 사례가 2017년 3건에서 2018년 1건, 2019년 5건, 2020년 8건, 2021년 8건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외에 화물차 운행 중에 발생한 사고가 24건(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