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9년 117회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19년 117-1-1 설비보존 조직형태 4가지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9년 117회 2025. 3. 30. 16:04
기계안전기술사 117회 2019년1. 설비보존 조직의 형태를 4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시오.문제풀이1.설비보전이란 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고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실시하는 보전 활동이다.설비의 본래 상태를 유지하고, 설비의 성능을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 설비보존 조직형태1. 집중보전• 공장의 모든 보전요원을 한 사람의 관리자(Ex. 보전 책임자) 밑에 조직 ⇒ 조직상 집중• 모든 보전업무를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조직 형태장점• 충분한 인원 동원 가능하다.• 다른 기능을 가진 보전원 배치가 용이하다.• 긴급작업, 고장, 새로운 작업을 신속히 처리한다.. 특수 기능자를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1인 보전에 관한 전 책임을 지고 있다.• 자본과 새로운 일에 대하여 통제가 보다 확실하다.• 보전원의..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17년 111-1-3 벨트전동 이상현상 크리핑, 플래핑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9년 117회 2024. 4. 6. 16:36
문제. 벨트 전동에서 발생되는 크리핑 (Creeping)현상과 플래핑(Flapping) 현상을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벨트전동의 이상 현상 평행기의 경우 구동 풀리로 들어가는 쪽 벨트는 긴장 측(Tight Side)으로서 아래쪽에 위치 하고, 구동 풀리로부터 나오는 쪽 벨트는 이완 측 (Loose Side)으로서 위쪽에 위치한다. 이는 장력차로 인한 접촉각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풀리에 감긴 벨트부분 중 긴장 측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많이 신장되고 이완 측에 가까운 곳에 서는 적게 신장된다. 즉 벨트가 풀리를 따라 회전하는 동안 벨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달라져 변형량도 변화하게 된다. 이완 측에 가까운 부분에서 인장력의 감소로 변형량이 줄어들므로 벨트가 풀리 위를 기어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 현상을..
-
[문제풀이] 2019년 117-1-9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설명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9년 117회 2023. 7. 23. 14:26
문제 9.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산업안전보건법의 목적 나) 산업재해 다) 중대재해 정답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2022.8.18.] [법률 제18426호, 2021.8.17., 일부개정] 제1장 총칙 제1조(목적) 이 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예외대상] 제3조(적용 범위) 이 법은 모든 사업에 적용한다. 다만, 유해ㆍ위험의 정도, 사업의 종류,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건설공사의 경우에는 건설공사 금액을 말한다. 이하 같다) 등을 고려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종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는 이 법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용하지 ..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19 117-4-2 승강기 검사 종류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9년 117회 2023. 5. 15. 22:12
문제 2. 승강기시설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승강기 검사의 종류 4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19년 1월 기준) 정답 1. 설치검사 2. 정기검사 3. 수시검사 4. 정밀안전검사 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 2021.1.12.] [법률 제17894호, 2021.1.12., 타법개정] 제32조(승강기의 안전검사) ① 관리주체는 승강기에 대하여 행정안전부장관이 실시하는 다음 각 호의 안전검사(이하 "안전검사"라 한다)를 받아야 한다. 1. 정기검사: 설치검사 후 정기적으로 하는 검사. 이 경우 검사주기는 2년 이하로 하되, 다음 각 목의 사항을 고려하여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승강기별로 검사주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가. 승강기의 종류 및 사용 연수 나. 제48조제1항에 따른 중대한 사고 또는 ..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19년 117-3-2 공정안전도면 PFD P&ID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9년 117회 2023. 4. 2. 14:10
문제 2019년 117-3-2 2. 공정안전도면 중 PFD(Process Flow Diagram), P&ID(Process & Instrument Diagram)의 용도와 표시사항 중심으로 설명하시오. 답 참고 (KOSHA D-29-2012 공정배관계장도(P&ID) 작성에 관한 기술지침) “공정흐름도 (PFD, Process Flow Diagram)”라 함은 공정계통과 장치설계기준을 나타내주는 도면이며 주요 장치, 장치간의 공정연관성, 운전조건, 운전변수, 물질․에너지 수지, 제어 설비 및 연동장치 등의 기술적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는 도면을 말한다. “공정배관계장도 (P&ID, Piping & Instrument Diagram)”라 함은 공정의 시운전(Start-up operation), 정상운전(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