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3-6 KOSHA GUIDE 항타기와 항발기를 설명, 작업계획서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19. 19:31
6. KOSHA GUIDE에서 정의하는 항타기와 항발기를 설명하고 항타기·항발기 조립 시, 작업 시, 해체 시 작업계획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문제풀이1. 정의 “항타기”라 함은 붐에 파일을 때리는 부속장치를 붙여서 드롭 해머나 디젤해머 등으로 강관파일이나 콘크리트파일 등을 때려 넣는데 사용되는 건설기계를 말하며, 종류로는 에너지 공급방식에 따라 드롭 해머, 증기 또는 압축공기 해머, 디젤 또는 가솔린 해머, 진동 항타기 등으로 분류된다. “항발기”라 함은 주로 가설용에 사용된 널말뚝, 파일 등을 뽑는데 사용되는 기계를 말한다. 항발기는 항타기의 반대이므로 통상의 항타기에 부속장치를 부착하면 항발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2. 작업계획서사업주는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 작업계..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3-4 표면 처리법 중 금속 침투법과 금속 피막법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19. 19:29
4. 표면 처리법 중 금속 침투법과 금속 피막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문제해설0.개요표면경화처리철강 재료의 표면층을 경화하기 위하여 행하는 열처리 방법을 표면경화처리라고 하며 표면경화처리는 물리적 표면경화처리와 화학적 표면경화처리로 분류 되는데 금속 침투법(Metallic Cementation)은 화학적 표면경화 처리에 속하고 그 밖에 표면경화처리로는 증착법, 탄화물 피복법, 금속 용사법, 산화 피막법 등이 있습니다.1. 금속침투법의 정의와 원리 금속침투법은 피복하고자 하는 금속 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한 삼태에서 표면에 다른 금속을 부착시키고, 확산을 통해 합금 피복층을 형성하는 방법입니다. 이 과정에서 금속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변화하며, 사용 환경에 적합한 내구성과 기능을 제공합니다2. 금속침투법의 주..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2-5 제조물 책임법 용어 정의 및 긍정적, 부정적 영향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13. 22:00
5. 제조물 책임법에서 사용하는 “제조물”, “결함”, “제조업자” 용어의 뜻과 제조물 책임법이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문제풀이 1. 개요(1) 소비자가 제조물 사용중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보호하기 위해 제조물 책임 법이 제정되었다. (2) 제조물 책임법이 제정되기 이전에는 기업의 고의나 과실이 인정된 경우에만 손해에 대한 배 상이 가능했지만 법 제정 이후에는 제조물의 결함이 발견되면 기업은 무조건 배상을 해야한다.2. 용어의 정의1) “제조물”이란 제조되거나 가공된 동산(다른 동산이나 부동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말한다.2) “결함”이란 해당 제조물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조상ㆍ설계상 또는 표시상의 결함이 있거나 그 밖에 통상적으..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2-6 기계설비 위험점, 사고체인 5요소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8. 21:19
6. 기계설비의 위험점 6가지와 위험점의 5요소(사고체인의 5요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문제풀이1. 위험점기계의 운동은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회전운동, 왕복운동,미끄럼운동, 회전과 미끄럼 운동의 조합, 진동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의 운동 형태에 따라 형성되는 위험점의 내용도 달라지는데 이들 위험점(Dangerous Points)은 다음 6가지로 나눌 수 있다.1) 협착점 (Squeeze Point, Crushing Point): 왕복동작 대 고정부분(왕복운동을 하는 동작부분)과 (고정부분) 사이에서 형성되는 위험점으로 사업장의 기계설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압착(Crushing)또는 협착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단조해머, 프레스, 압축용접기, 인쇄기, 성형기 등이 있다.2) ..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2-5 제조물 책임법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7. 20:20
5. 제조물 책임법에서 사용하는 “제조물”, “결함”, “제조업자” 용어의 뜻과 제조물 책임법이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문제풀이 1. 용어의 뜻1. “제조물”이란 제조되거나 가공된 동산(다른 동산이나 부동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말한다.2. “결함”이란 해당 제조물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제조상ㆍ설계상 또는 표시상의 결함이 있거나 그 밖에 통상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가. “제조상의 결함”이란 제조업자가 제조물에 대하여 제조상ㆍ가공상의 주의의무를 이행하였는지에 관계없이 제조물이 원래 의도한 설계와 다르게 제조ㆍ가공됨으로써 안전하지 못하게 된 경우를 말한다. 나. “설계상의 결함”이란 제조업자..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4-5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6. 22:45
5. 정부는 2026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을 0.29‱로 감축하고자 하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이 중, 중대재해 취약분야인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문제해설1. 개요우리나라는 산업재해로 인한 연간 사망자가 여전히 800명 이상으로, OECD 최하위권 수준에 머물러 있 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 처벌 중심의 관리 방식으로는 중대재해를 실질적으로 줄이기 어렵다는 인식 아 래, 정부는 2022년 11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이 로드맵은 '26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 을 OECD 평균(0.29%)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전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로의 패러다 임 전환을 핵심으로 한다.4대 전략 및 14대 핵심과제4대 과제 중 중대재해 취약분야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