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건설장비 사고사례 및 매뉴얼, 법규 등 모든것

Today
Yesterday
Total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3년 129-1-1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 및 심사결과
    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3년 129회 2023. 2. 7. 22:44
    728x90
    반응형

    129-1-1 기계안전기술사

    1.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대상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계․기구 및 설비 항목 5가지를 쓰고,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결과를 3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시행령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의 구체적인 범위 <개정 2021. 11. 19.>
    1. 금속이나 그 밖의 광물의 용해로
    2. 화학설비
    3. 건조설비
    4. 가스집합 용접장치
    5. 근로자의 건강에 상당한 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물질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물질의 밀폐ㆍ환기ㆍ배기를 위한 설비

    시행규칙 제45조(심사 결과의 구분)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심사 결과를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ㆍ판정한다.
    1. 적정: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위하여 필요한 조치가 구체적으로 확보되었다고 인정되는 경우
    2. 조건부 적정: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3. 부적정:
    건설물ㆍ기계ㆍ기구 및 설비 또는 건설공사가 심사기준에 위반되어
    공사착공 시 중대한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거나
    해당 계획에 근본적 결함이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 2022.8.18.]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ㆍ제출 등)
    ① 사업주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 법 또는 이 법에 따른 명령에서 정하는 유해ㆍ위험 방지에 관한 사항을 적은 계획서(이하 “유해위험방지계획서”라 한다)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고 심사를 받아야 한다. 다만, 제3호에 해당하는 사업주 중 산업재해발생률 등을 고려하여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업주는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스스로 심사하고, 그 심사결과서를 작성하여 고용노동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개정 2020. 5. 26.>

    1.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해당하는 사업으로서
    해당 제품의 생산 공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건설물ㆍ기계ㆍ기구 및 설비 등
    전부를 설치ㆍ이전하거나 그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하려는 경우

    2. 유해하거나 위험한 작업 또는 장소에서 사용하거나 건강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를
    설치ㆍ이전하거나 그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하려는 경우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크기, 높이 등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를 착공하려는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 2022.8.18.] [대통령령 제32873호, 2022.8.16., 일부개정]

    제42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 제출 대상)
    ① 법 제42조제1항제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해당하는 사업”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으로서
    전기 계약용량이 300킬로와트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1.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3.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4.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5. 식료품 제조업
    6.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8. 기타 제품 제조업
    9. 1차 금속 제조업
    10. 가구 제조업
    11.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12. 반도체 제조업
    13. 전자부품 제조업

    ② 법 제42조제1항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를 말한다.
    이 경우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의 구체적인 범위는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다. <개정 2021. 11. 19.>
    1. 금속이나 그 밖의 광물의 용해로
    2. 화학설비
    3. 건조설비
    4. 가스집합 용접장치
    5. 근로자의 건강에 상당한 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물질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물질의 밀폐ㆍ환기ㆍ배기를 위한 설비
    6. 삭제 <2021. 11. 19.>

    ③ 법 제42조제1항제3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크기 높이 등에 해당하는 건설공사”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공사를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 또는 시설 등의 건설ㆍ개조 또는 해체(이하 “건설등”이라 한다) 공사
    가. 지상높이가 31미터 이상인 건축물 또는 인공구조물
    나. 연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물
    다.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시설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1) 문화 및 집회시설(전시장 및 동물원ㆍ식물원은 제외한다) 2) 판매시설, 운수시설(고속철도의 역사 및 집배송시설은 제외한다) 3) 종교시설 4) 의료시설 중 종합병원 5) 숙박시설 중 관광숙박시설 6) 지하도상가 7) 냉동ㆍ냉장 창고시설
    2. 연면적 5천제곱미터 이상인 냉동ㆍ냉장 창고시설의 설비공사 및 단열공사
    3. 최대 지간(支間)길이(다리의 기둥과 기둥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50미터 이상인 다리의 건설등 공사
    4. 터널의 건설등 공사
    5. 다목적댐, 발전용댐, 저수용량 2천만톤 이상의 용수 전용 댐 및 지방상수도 전용 댐의 건설등 공사
    6. 깊이 10미터 이상인 굴착공사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