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4-5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6. 22:45
5. 정부는 2026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을 0.29‱로 감축하고자 하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이 중, 중대재해 취약분야인 “3대 사고유형 8대 위험요인”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문제해설1. 개요우리나라는 산업재해로 인한 연간 사망자가 여전히 800명 이상으로, OECD 최하위권 수준에 머물러 있 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순 처벌 중심의 관리 방식으로는 중대재해를 실질적으로 줄이기 어렵다는 인식 아 래, 정부는 2022년 11월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이 로드맵은 '26년까지 사고사망만인율 을 OECD 평균(0.29%) 수준으로 감축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전예방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로의 패러다 임 전환을 핵심으로 한다.4대 전략 및 14대 핵심과제4대 과제 중 중대재해 취약분야 집..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4-3 벨트컨베이어 장력유지장치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6. 21:23
3.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의 장력유지장치(Take up Device)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1) 장력유지장치의 개요 2) 장력유지장치의 무게추(Counter weight) 계산방법 3) 장력유지장치의 유해위험요인 및 안전대책문제해설1. 장력유지장치 개요1) 테이크 업 장치(Take-up Unit)테이크 업 장치에는 여러 가지 형식의 것이 있으나 주로 컨베이어의 기장에 따라 사용 구분을 하고 있다. 기장이 30~50m 정도의 것에는 스크류식이, 50m 이상인 것에는 카운터 웨이트식이 사용되고 있다. 기장이 더욱 길어 장거리 켄베이어는 파워 테이크업(공기식, 유압식, 전동식 등)이 사용된다.2. 장력유지장치의 무게추(Counter weight) 계산방법 3. 장력유지장치의 유해위험요..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4-1 고소작업대 설치 이동 사용하는 경우 준수사항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6. 18:45
1.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고소작업대 설치 등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1) 고소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 준수사항(2가지)2) 고소작업대를 이동하는 경우 준수사항(3가지)3) 고소작업대를 사용하는 경우 준수사항(8가지)문제해설제4관 고소작업대제186조(고소작업대 설치 등의 조치) ① 사업주는 고소작업대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것을 설치하여야 한다.1. 작업대를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으로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이 끊어져 작업대가 떨어지지 아니하는 구조여야 하며, 와이어로프 또는 체인의 안전율은 5 이상일 것2. 작업대를 유압에 의해 올리거나 내릴 경우에는 작업대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추고 압력의 이상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3-5 자동전격방지기 설치목적, 설치장소, 점검사항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6. 16:17
자동전격방지기1. 정의 용접기의 아크 발생 중단 전, 후 1초 이내에 용접기의 2차측 무부하 전압을 안전전압 25V 이하로 강하하는 전기적 안전장치[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 "교류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이하 "전격방지기"이라 한다)"란 대상으로 하는 용접기의 주회로(변압기의 경우는 1차회로 또는 2차회로)를 제어하는 장치를 가지고 있어, 용접봉의 조작에 따라 용접할 때에만 용접기의 주회로를 형성하고, 그 외에는 용접기의 출력측의 무부하전압을 25볼트 이하로 저하시키도록 동작하는 장치를 말한다. 2. 설치목적 1) 용접봉에 신체 접촉 시 감전 방지 2) 용접기 2차측 배선이나 홀더 절연 불량 시 접촉에 의한 감전 방지3. 작동원리 자동전격방지기 원리 1) 아크 발생이 중지되면 1차측 S1 스위치 O..
-
[기계안전기술사] 밀폐공간에서 용접 용단 작업 시 화재 예방 안전수칙기계안전기술사 Study/09 기타 기계안전 사항 2025. 4. 6. 16:03
6.2 밀폐공간에서의 작업시 유의사항 도장작업 등을 한 탱크, 기름을 넣었던 탱크, 피트, 덕트, 배관 등의 밀폐된 공간에서는 다음 각 호의 안전조치에 따라 작업을 실시한다. (1) 가연성, 폭발성 기체나 유독가스의 존재 여부 및 산소결핍 여부를 작업 전에 반드시 점검하고, 필요시는 작업 중 지속적으로 공기 중 산소농도를 점검한다. (2) 밀폐공간에 연결되는 모든 파이프, 덕트, 전선 등은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 연결을 끊거나 막아서 작업장내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3) 작업 중 지속적으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4) 용접에 필요한 가스 실린더나 전기 동력원은 밀폐공간 외부의 안전한 곳에 배치한다. (5) 밀폐공간 외부에는 반드시 감시자 1명을 배치하여 육안이나 대화로 확인하고, 작업자의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