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19년 117-1-1 설비보존 조직형태 4가지
    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9년 117회 2025. 3. 30. 16:04
    728x90
    반응형

    기계안전기술사 117회 2019년

    1. 설비보존 조직의 형태를 4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1.설비보전이란 설비의 성능을 유지하고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실시하는 보전 활동이다.
    설비의 본래 상태를 유지하고, 설비의 성능을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설비보존 조직형태

    1. 집중보전
    • 공장의 모든 보전요원을 한 사람의 관리자(Ex. 보전 책임자) 밑에 조직 ⇒ 조직상 집중
    • 모든 보전업무를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조직 형태
    장점
    • 충분한 인원 동원 가능하다.
    • 다른 기능을 가진 보전원 배치가 용이하다.
    • 긴급작업, 고장, 새로운 작업을 신속히 처리한다.
    . 특수 기능자를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 1인 보전에 관한 전 책임을 지고 있다.
    • 자본과 새로운 일에 대하여 통제가 보다 확실하다.
    • 보전원의 기능 향상을 위하여 훈련이 보다 잘 행해진다.

    단점 (보전요원이 너무 많다 관리가 힘들고 의견 모으기도 힘들다)
    • 보전요원이 공장 전체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적절한 관리감독을 할 수 없다.
    • 작업표준을 위한 시간 손실이 많다.
    • 일정작성이 곤란하다.
    • 작업의뢰와 완성까지의 시간이 상당히 길다.
    • 보전원이 각종 생산작업에 대하여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2. 지역보전
    특정 지역에 보전요원배치 조직상 집중
    • 제품별·제조부문별 또는 지리적으로 보전업무가 분산 배치되는 조직 형태 ⇒ 배치상 분산
    • 배치 지역의 예방보전 검사, 급유, 수리 등을 담당
    장점
    • 보전요원이 용이하게 제조부의 작업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
    • 작업지시에서 완성까지 시간적인 지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 보전감독자와 보전요원이 해당 설비에 정통하고 예비부품의 요구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생산라인의 공정변경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 근무시간의 교대가 유기적이다.
    • 보전감독자나 보전요원은 생산계획, 생산의 문제점, 특별작업 등에 관하여 잘 알고 있다.

    단점
    • 대수리작업의 처리가 어렵다.
    • 지역별로 스태프(Staff)를 여분으로 배치하는 경향이 있다.
    • 배치전환, 고용, 초과근로에 대하여 인사적 문제나 제약이 많다.
    • 전문가 채용이 어렵다.

    3. 부문보전
    • 보전요원을 제조부문의 감독자 밑에 배치 ⇒ 조직·배치상 분산
    • 제조부문의 책임자에 의하여 보전업무가 지시 및 감독되는 조직 형태
    장점
    • 지역보전의 장점과 유사하다.
    • 작업계획은 제조부문 책임자 혹은 관리자에 의하여 수립된다.
    단점
    제조부문의 감독자들은 보전업무를 지도할 자격이 없다.
    • 제조부문의 감독자들은 생산계획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보전작업을 무시하는 경우가 있다.
    • 공장의 보전책임이 분할된다.
    • 보전비 획득이 어렵다.
    인사문제는 지역보전의 경우보다 조금 양호한 편이다.

    4. 절충보전
    • 지역보전 또는 부문보전과 집중보전을 조합시켜 각각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이다.
    사견이지만 각 보전방식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다고 하지만 그 절충점을 찾기 어렵고 여러 관 리자/감독자들의 견해로 뚜렷한 방향이 없는 조직구성이 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