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3-5 자동전격방지기 설치목적, 설치장소, 점검사항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4. 6. 16:17728x90반응형
자동전격방지기
1. 정의
용접기의 아크 발생 중단 전, 후 1초 이내에 용접기의 2차측 무부하 전압을 안전전압 25V 이하로 강하하는 전기적 안전장치
[방호장치 자율안전기준 고시]
"교류아크용접기용 자동전격방지기(이하 "전격방지기"이라 한다)"란
대상으로 하는 용접기의 주회로(변압기의 경우는 1차회로 또는 2차회로)를 제어하는 장치를 가지고 있어, 용접봉의 조작에 따라 용접할 때에만 용접기의 주회로를 형성하고, 그 외에는 용접기의 출력측의 무부하전압을 25볼트 이하로 저하시키도록 동작하는 장치를 말한다.2. 설치목적
1) 용접봉에 신체 접촉 시 감전 방지
2) 용접기 2차측 배선이나 홀더 절연 불량 시 접촉에 의한 감전 방지
3. 작동원리
자동전격방지기 원리
1) 아크 발생이 중지되면 1차측 S1 스위치 Open 되고, 보조변압기 S2 스위치가 연결되면서 홀더의 전압을 25V 이하로 저하
2) 용접봉을 모재에 접촉 시 2차측 회로에 잠시 전류가 흐르고, 제어장치에 의해 용접할때만 용접기의 주회로를 형성하고 그 외는 출력측에 무부하 전압을 저하시키도록 하는 원리
4. 설치장소
1) 선박의 이중 선체 내부, 밸러스트 탱크, 보일러 내부 등 도전체에 둘러싸인 장소
2) 추락 위험장소로 (2m 이상) 철골 등 도전성이 높은 물체에 근로자가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
3) 근로자가 물, 땀으로 인하여 도전성이 높은 습윤상태의 작업 장소
5. 점검사항
[위험기계기구 방호장치 기준 제 16조의4]
*사업주는 전격방지기를 설치한 용접기를 사용할 때에는 용접작업자로 하여금 사용전에 다음 각호의 사항에 대해서 사전 점검토록 하여야 하며, 이상이 있을때에는 즉시 보수하거나 교체하여야 한다
① 전격방지기 외함의 접지상태
② 전격방지기 외함의 뚜껑상태
③ 전격방지기와 용접기와의 배선 및 이에 부속된 접속기구의 피복 또는 외장의 손상유무
④ 전자접촉기의 작동상태
⑤ 이상소음, 이상냄새 발생유무
*사업주는 전격방지기의 사용빈도, 설치장소, 기타 사용조건에 따라 6개월에 1회이상 다음 각호의 정기점검과 1년에 1회이상 <별표1>에서 정하는 정밀점검을 전기취급자로 하여금 행하게 하여야 하며 그 결과를 기록하여야 한다. 또한 점검결과 이상시에는 즉시 보수하거나 교환하여 정상기능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① 용접기 외함에 전격방지기의 부착상태
② 전격방지기 및 용접기의 배선상태
③ 외함의 변형, 파손 여부 및 가스켓트 노화상태
④ 표시등의 손상유무
⑤ 퓨즈 이상 유무
⑥ 전자접촉기 주접점 및 기타 보조접점의 마모상태
⑦ 점검용 스위치의 작동 및 파손유무
⑧ 이상소음, 이상냄새 발생유무
자동전격방지기 점검사항
1. 자동전격방지장치 외함의 접지상태 이상유무.
2. 자동전격방지장치 외함의 변형, 파손 및 결함상태.
3. 자동전격방지장치와 용접기의 배선 및 접속부분 피복의 손상유무.
4. 전자개폐기의 작동상태 이상유무.
5. 자동전격방지장치는 용접기에 직각으로 부착외어야 한다.(다만 직각으로 부착하기 어려울 때는 기울기가 20도이내로 부착되어야 한다.)
6. 자동전격방지기 표시
6. 자동전격방지기 표시
예시) SP - 3A - H
SP : 외장형 자동전격방지기
SPB : 내장형 자동전격방지기
3 : 출력측(2차측) 정격 전류의 100단위 수치를 의미
ex) 2차측 전류가 300A인 경우 3으로 표시
A : 콘덴서의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
B : 콘덴서를 내장하지 않은 용접기에 사용
C : 콘덴서 내장형 용접기에 사용
E : 엔진 구동 용접기에 사용
H : 고저항 시동형
L : 저저항 시동형
결론
용접기 사용시 가장 위험한 재해가 감전이다. 감전사고는 주로 출력측에서 발생하며 무부하일 때 그 위험도가 더욱 높다. 따라서 용접시 2차측 무부하전압이 낮은 용접기를 사용하고, 자동전격방지기를 반드시 설치, 점검, 관리 등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해야 한다.728x90반응형'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 > 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4-2 안전모 종류 및 용도, 시험성능 기준 (0) 2025.04.06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4-1 고소작업대 설치 이동 사용하는 경우 준수사항 (0) 2025.04.06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4-6 용접용단 작업 시 비산불티 특성 및 작업안전수칙 (0) 2025.04.06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2-3 분말야금(Powder metallurgy)법 (0) 2025.04.06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2-2 재해발생 매커니즘 (0) 2025.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