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1-10 Fail Safe의 3단계 구성(기능 분류) 및 적용사례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2025. 3. 30. 23:04728x90반응형
10. Fail Safe의 3단계 구성(기능 분류)에 대하여 설명하고 Fail Safe의 적용 사례 3가지를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1. Fail safe system
1) 개요
① 기계설비나 그 부속품이 파손 또는 고장 발생 시, 기계설비는 항상 안전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기능을 말함.
② 기계설비의 안전화 대책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음.
2) Fail Safe System 기능적 분류3) Fail Safety 사례
(1) Fail Passive
부품 고장 시 기계를 정지시키는 구조
예) 승강기 정전 시 자동 운전 정지
예) 과전류 발생 시 퓨즈가 녹아 전원 차단
(2) Fail Active
부품 고장 시 경보를 울리고 짧은 시간 운전이 가능한 구조
예) 자율 주행 차량 운전 중 에러 발생 시 운전자에게 알리고 일정 시간 운전을 가능하게 하여 동작을 정지하는 기능
예) 천재지변 등으로 정전 시 UPS, 비상 발전기로 설비 기동 유지
(3) Fail Operational
부품에 고장이 있어도 추후 보수 전까지 안전한 기능을 유지하는 구조.
주로 주요 기능을 복수로 설계 하여 메인 부품 고장 시 서브 부품으로 기능을 유지 한다.
예) 메인 수조 펌프 고장 시 서브 펌프 자동 기동
예) 자율주행차량 Main 통신 고장 시 서브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 받아 컨트롤러를 제어
예) 컨베이어 물류시스템에서 제품 감지 방법을 중량(로드셀)센서 고장 시 이중화 설치 된 물체 감지(광센서)로 컨베이어 기능 유지728x90반응형'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 > 기계안전기술사 25년 135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1-13 위험성평가 절차 5단계 (0) 2025.03.30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1-11 운전자 보호용 ROPS와 FOPS (0) 2025.03.30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1-9 잔류응력 정의, 제거하는 방법 (0) 2025.03.30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1-8 8 삼각 나사 조일 때와 풀 때 효율에 관한 식 (0) 2025.03.23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5년 135-1-7 공구 끝단에 발생하는 구성인선(built-up edge) (0)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