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 요 '안전관리조직'이란 원활한 안전활동, 안전관리 및 안전조직의 확립을 위해 필요한 조직으로 사업장의 규모 및 목적에 따라 LINE형 staff형, line-staff형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2. 안전관리조직의 목적 1) 기업의 손실을 근본적으로 방지 2) 조직적인 사고 예방 활동 3) 모든 위험의 제거 4) 위험 제거 기술의 수준 향상 5) 재해예방률의 향상
3. 안전관리조직의 3형태
1) Line 형 조직(직계식 조직) - 안전관리에 관한 계획에서 실시, 평가에 이르기까지 안전의 모든 것을 line을 통하여 행하는 관리방식 - 생산조직 전체에 안전관리 기능 부여 - 안전을 전문으로 분담하는 조직이 없다. - 근로자 수 10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
2) Staff형 조직(참모식 조직) -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staff(안전관리자/보건관리자)를 통해 안전관리에 대한 계획,조사, 검토, 권고,보고 등을 하도록 하는 안전조직 - 안전과 생산을 분리된 개념으로 취급할 우려가 있다. - staff의 성격상 계획안의 작성, 조사,점검 결과에 따른 조언 및 보고수준에 머물수 있다. - 근로자 수 100명 이상 500명 미만의 중규모 사업장에 적합
3) line-staff형(직계,참모식조직) - line형과 staff형의 장점을 취한 조직 형태 - 안전업무를 전담하는 staff부분을 두는 한편, 생산 line의 각 층에도 겸임 또는 전임의 안전담당자를 배치해 기왁은 staff에서, 실무는 line에서 담당하도록 한 조직 형태 - 안전관리, 계획 수립 및 추진이 용이하다. - 근로자 수 1,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에 적합
4. 안전관리조직의 활성화 방안 1) 안전관리체제의 확립 2) 조직 구성원 전원 참여 3) 조직 구성원의 책임과 권한 한계 명확화 4) 안전활동의 상벌제 도입 5) 안전의 생활화 유도 6) 최고경영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 및 적극적인 참여
5. 안전관리조직의 목적 기업내에서 안전관리조직을 구성하는 것은 근로자의 안전과 설비의 안전을 확보함으로써 생산합리화를 도모해 근로자의 안전, 보건을 유지,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