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안전기술사] 이동식사다리 사용 안전기준기계안전기술사 Study/01 산업안전관리론 2025. 4. 18. 12:01728x90반응형
1. 개요
이동식 사다리는 안전보건 기준규칙 24조에 따라 근로자의 이동을 위해 설치하는 이동통로를 말하며,
작업발판 설치가 불가능한 장소에 한해서 기준규칙 42조 4항을 준수하여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2. 이동식 사다리 종류
4. 이동식 사다리 안전수칙
(1)이동통로 사용시 (기준규칙 24조)
(2)작업발판 사용시 (기준규칙 42조 4항 - '24.6.28 시행)
*이동식 사다리 사용 전 작업발판 설치를 우선적으로 검토 필요
5. 이동식 사다리 사용, 작업시 현장관리 방안
1)최하사점을 고려한 안전고리 체결
- 작업높이 2m 이상인 경우 안전대를 착용 견고한 고정점에 안전고리를 체결해야 합니다.
이때 최하사점(h)을 고려하여 작업높이(H) 보다 같거다 클 경우 안전대 부착 설비 위치를 조정하여야 합니다.
<최하사점(h) = 로프길이 + 로프의 신장길이 + 작업자의 키(1/2)>
*로프길이에 따른 결과
H>h (안전), H=h (위험), H<h (중상,사망)
2)추락방지대 설치
- 사다리 이용시 추락방지대를 설치하여 미끄러져 떨어짐 재해 예방할 수 있습니다.
화살표 방향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해야 추락시 제동이 걸리게 됨으로 꼭 설치 방향을 확인해야 합니다.
6. 주요 안전사고 유형과 예방 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다리 미끄러짐
사고 원인: 바닥이 고르지 않거나 미끄러운 표면 위에 사다리를 놓는 경우, 사다리가 미끄러지면서 작업자가 추락할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 항상 고른 지면 위에 사다리를 설치하고, 필요한 경우 미끄럼 방지 패드를 사용합니다. 사다리가 설치된 위치가 안정적인지 확인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
2) 사다리 균형 상실
사고 원인: 작업자가 사다리의 상단에 오르거나, 몸을 과도하게 기울일 때 균형을 잃고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 사다리 상단에서 작업할 때는 몸을 기울이지 말고, 필요시 사다리를 옮겨가며 작업합니다.
적절한 각도로 사다리를 설치해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3) 사다리의 과도한 하중
사고 원인: 사다리의 허용 하중을 초과하는 무거운 물건을 들고 올라가거나, 한 번에 여러 명이 사다리에 오르면 사다리가 파손될 수 있습니다.
예방 방법: 사다리의 하중 제한을 확인하고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합니다. 사다리 위에 한 명씩만 올라가도록 하고, 물건을 옮길 때는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장비 사용 부주의
사고 원인: 작업자가 사다리에서 적절한 보호 장비(안전 벨트, 헬멧 등)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하면 사고 위험이 증가합니다.
예방 방법: 반드시 작업 중에는 헬멧, 장갑, 안전벨트 등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합니다.
사다리 위에서는 한 손으로 사다리를 잡고 작업하도록 해야 합니다.
5) 사다리의 불량 또는 노후
사고 원인: 오래된 사다리나 결함이 있는 사다리는 안전 사고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예방 방법: 사다리를 사용하기 전에 파손이나 결함이 없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손상된 사다리는 즉시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합니다.728x90반응형'기계안전기술사 Study > 01 산업안전관리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안전기술사] 가스집합장치의 설치장소 소화설비 설치 기준 (0) 2025.04.18 상해 및 재해 발생형태 (0) 2025.04.14 [기계안전기술사] 산업재해 예방 통합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 등 기준 (0) 2025.03.22 [기계안전기술사] 안전점검 종류 및 요령, 대상기구 (2) 2023.12.17 [기계안전기술사] 하인리히의 사고예방 5단계 (1) 2023.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