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안전기술사] 2021년 123-2-6 안전문화 정의, 저해요소, 선진화 활동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1년 123회 2025. 3. 30. 13:54728x90반응형
6. 산업안전보건법상 정부의 책무와 관련하여 추진하고 있는 안전문화를 정의하고
국내의 안전문화를 저해하는 요소 2가지와 선진화활동에 대하여 3가지를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1. 안전문화의 정의
안전문화란 안전제일의 가치관이 충만되어 모든 활동 속에서 ‘안전’이 체질화 되는 것과,
그 가치의 구체적 실현을 위한 행동양식과 사고방식, 태도 등을 포함한 총체적 의미를 갖습니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안전문화의 3대 원칙은
행동양식의 일차적 변화, 안전제일의 가치관정립, 안전의식의 무의식적 표출입니다.
2. 안전문화의 개념
안전을 실천하는 의식, 안전을 유도하는 제도, 안전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가 결합해 만들어 내는 사회적 문화적 산물
-안전의식: 안전제일의 가치관이 개인의 생활이나 조직의 활동 속에 체질화된 상태
-안전제도: 안전한 활동을 이끌어내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법, 제도 등
-인프라: 불안전한 상태를 제거한 시설물 및 안전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시스템
3. 안전문화 저해요소
• 현재 우리의 안전보건문화수준은 안전보건문화 도약기 단계로 법규준수 등 산업재해예방활동을 강제하는 방식만으로는 산업재해율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 어려운 상황임
- 산업구조(다단계 도급, 플랫폼 산업 등)· 취업구조(특수형태종사·비정규직·여성·외국인노동자의 증가 등) 및 산업현장의 변화(4차 산업혁명, 신기술·신규화학물질 사용 등)로 사업장 내의 유해·위험요인 다양화
-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를 투자보다는 비용의 개념으로 인식, 사업장내 자율적 안전보건활동 저조
4. 안전문화의 선진화
- 근로자의 안전과 건강이 확보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안전제도(법규·기술), 안전의식(교육·홍보·자료), 안전인프라(시설·네트워크)가 함께 발전해 나가는 산업안전보건문화 선진화 활동이 필요
- 사업장의 자율적 안전문화 형성과 정착을 위한 기반 확충, 사업장 구성원의 안전보건의식 향상을 위한 노사 참여형 안전보건문화활동 유도
- 노사단체, 시민단체 등의 전문성, 인프라, 네트워크를 활용한 안전문화 확산을 지원하고 산업안전보건분야 안전문화 인프라 확대
- 사회적 안전보건문화 선진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범국민 안전문화조성활동과 연계 추진출처. 안전보건공단
https://naver.me/5qRw6XAQ네이버
link.naver.com
728x90반응형'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 > 기계안전기술사 21년 123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1년 123-4-5 펌프 진동 원인 (수력적, 기계적) (0) 2024.04.20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1년 123-2-2 피로한도, 피로강도, S-N 곡선 (0) 2024.04.06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1년 123-2-5 축의 종류 및 설계시 고려사항 (0) 2023.04.29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1년 123-3-4 금속 경도시험 방법 4가지 (1) 2023.04.16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1년 123-1-4 테르밋 용접 (1) 202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