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00년 62-1-5 강 표시 중 SM45C SS34 의미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10년 이전 2025. 5. 3. 19:21728x90반응형
강 표시 중 SM45C SS34 의미
문제풀이
1. SM45C
기계 구조용 탄소강재 0.45%탄소
2. SS34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최소 인장강도 34kgf/mm2
KS 탄소강(carbon steel)의 종류와 특징
-목차
1)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SS재)
2) 냉간압연 강재(SCP재)
3) 열간압연 강재(SHP재)
4)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SWS재)
5) 내후성 압연 강재
6) 용융 아연도금 강재(SGC재)
7) 전기 아연도금 강재(SEC재)
8) 도장 용융 아연도금 강재(CGC재)
9) 보일러용 압연 강재(SBB재)
10) 기계 구조용 탄소강재(SM-C재)
1)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SS재)
■ 특 징
- 인장강도의 최저치가 규정되어 있음.
- 화학조성은 인(P) 및 황(S) 만 규정되어 있고, 탄소(C)는 규정되어 있지 않음.
- 용접성 및 저온인성에 대한 보증 검사가 되어 있지 않음.
- 림드강(RIMMED STEEL)으로, 인 및 황의 편석으로 재질이 불균일함.
■ 용 도
- 주용 강도부를 제외한 기계 및 구조물의 보조재료로 사용됨.
- SS400은 판 두께 50mm 이하까지는 용접성에 문제가 없음.
- SS490 및 SS540은 용접을 하지 않는 곳에 사용함.
- 침탄 담금질용 강으로 사용함
■ 표시 방법 및 기호 체계
2) 냉간압연 강재(SCP재)
냉간압연강판은 열연코일을 소재로 표면 스케일을 제거하고 두께 0.15~3.2mm 정도까지 압연한 후 소둔과 조질압연을 거쳐 생산한다. 열연강판에 비해 두께가 얇고 두께 정도가 우수하며 표면이 미려하고 평활하며 가공성이 우수하다.
KS D3512에서 규정된 1종(SCP1, 일반용), 2종(SCP2, 가공용), 3종(SCP3, 심가공용) 등이 있음
■ 특 징
- 가공 경화를 일으키는 재결정 온도 이하 또는 상온에서 압연한 소재
- 표면 상태가 양호하고 어느 정도의 내식성이 있음.
- 기계적 성질이 양호함.
- 소성 가공성이 양호함.
- 가공도에 따라 다양한 조질이 얻어지며, 소재 선택의 폭이 넓음.
■ 용 도
-SCP1(SPCC) : 일반용(벤딩이나 간단한 드로잉에 적합, 세탁기, 냉장고, 외판, 캐비닛, 철제가구, 배전반 등)
-SCP2(SPCD) : 가공용(도어, 가솔린 탱크, 통신기기 부품, 전기밥통외판 등)
-SCP3(SPCE) : 심가공용(심가공 후 미려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용도는 자동차용 Rear, Fender, Front panel등 사용)
■ 표시 방법 및 기호 체계
3) 열간압연 강재(SHP재)
■ 정 의
- 가공경화를 일으키지 않는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압연한 소재 열간압연기(Hot strip Mill)에 의해 생산, 약 8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압연된 제품.
■ 특 징
- 산화 피막 생성으로 표면상태가 불량함.
- 소성 가공성이 불량하므로, Bending 및 Drawing시 주의해야 함.
■ 용 도
- SHP1(SPHC) : 일반용(두께 1.0 ~13mm)
- SHP2(SPHD) : Drawing 용(두께 1.2 ~6mm)
- SHP3(SPHE) : Deep Drawing 용(두께 1.2 ~ 6mm)
■ 표시 방법 및 기호 체계
SHP 1
종류기호(1종)(SPHC)
-2 : 2종(SPHD) -3 : 3종(SPHE)
재료 표시 기호
1종은 C : 0.15% 이하, Mn : 0.6% 이하, 2종 및 3종은
C : 0.10% 이하, Mn : 0.50% 이하의 탄소강으로 제조함.
4) 용접 구조용 압연 강재(SWS재)
■ 특 징
- 용접성이 우수하고, 탄소(C), 실리콘(Si) 및 망간(Mn) 함유량을 규정하고 있음.
- 강종은 세미 킬드강(semi killed steel) 또는 킬드강(killed steel)임.
- 강종 중 B 및 C종은 충격시험에 의한 저온 인성을 보증하고 있어서 취성 파괴의 염려가 없음.
- SWS490 이상은 용접시 충분한 주의와 열처리가 필요함.
- 저온 인성은 B종은 0℃, C종은 -10~20℃ 까지 보증함.
- SWS-Y종은 Nb를 첨가한 강종으로, 항복비가 높음.
■ 종류 및 기계적 성질(KS D 3515)
5) 내후성 압연 강재
■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 강재(SMA재)
- 대기중의 부식에 견디는 성질을 가진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
- 내후성은 인(P), 구리(Cu) 및 크롬(Cr) 등의 첨가에 의해 향상되나, 용접성에는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므로, 인(P)을 빼고, Cu-Cr계를 기본으로 Mo, Nb, Ni, Ti, V, Zr 중 어느 1종 이상을 첨가함.
- 기본 강종의 SMA 490이며, SMA 400은 강도를 낮추기 위하여 함금 원소의 첨가량을 적게 하여, 내후성이 SMA 490에 비해 떨어짐.
- SMA 570은 SMA 490을 열처리에 의해서 강도를 높인 강종임.
■ 고 내후성 압연강재(SPA재)
- 용접 구조용 내후성 열간압연 강재(SMA재)보다 더욱 내후성을 좋게 한 것으로, P-Cu-Cr-Ni계임.
- 내후성이 보통강에 비해 7~8배 정도 좋음.
- 화학성분 중 인(P)의 함유량이 높음.
- 용접성은 SMA재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며, 용접을 할 경우 판 두께를 16mm 이하로 제한하며,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
6) 용융 아연도금 강재(SGC재)
■ 정 의
- 냉간압연 또는 열간압연 강판을 아연이 용융된 도금가마 속을 통과시켜 강판 표면에 아연을 도금시킨 소재
■ 특 징
- 내식성이 양호함.
- 다습한 곳에서는 표면아연 부식에 의한 도막 Blister 발생함.
■ 표시 방법 및 기호 체계
SGCC R P Z27
Z27 : 도금 부착량 표시기호(54μm)
-Z06 : 13μm -Z08 : 17μm
-Z10 : 21μm -Z12 : 26μm
-Z18 : 34μm -Z20 : 40μm
-Z22 : 43μm -Z25 : 49μm
P : 화성처리 종류 기호(인산염 처리)
-C : 일반 크롬산 처리
-M : 무처리
R : 도금 마무리 기호(레귤러 스팽글)
-Z : 미니마이즈드 스팽글
SGCC : 재료 및 종류 기호(일반용)
-SGCH : 일반경질용
-SGCD1,2,3 : 가공용 1종, 2종, 3종
-SGC340,400,440,490,570 : 구조용
7) 전기 아연도금 강재(SEC재)
■ 특 징
- 전기분해에 의해 아연염 용액으로부터 금속아연 석출시켜 냉연강재 또는 열연강재 표면에 아연을 부착시킨 소재
- 도장성이 우수하고, 내식성이 양호함.
- 용접성 및 가공성이 우수함.
■ 표시 방법 및 기호 체계
SECC T P E08
E08 : 도금 부착량 표시기호(8.5/8 g/㎡)
-E16 : 17/16 g/㎡ -E24 : 24.5/24 g/㎡
-E32 : 34/32 g/㎡ -E24 : 42.5/40 g/㎡
*도금두께가 다른 경우 : E16/E32 D
P : 화성처리 종류 기호(인산염 처리)
-C : 일반 크롬산 처리
-M : 무처리
T : SECC 표준 조질의 인장 및 에릭슨값 보증
-N : SECE 표준 조질의 비시효성 보증
SECC : 재료 및 종류
기호(일반용)
-SECD : 드로잉용
-SECE : 심드로잉용
-SEFC : 가공용
8) 도장 용융 아연도금 강재(CGC재)
■ 정 의
- 냉간압연 강판을 사용한 용융 아연도금 강재에 내구성이 있는 합성 수지 도료를 양면, 또는 한쪽 면에 균일하게 도장, 열처리한 소재
■ 특 징
- 내구(식)성에 의한 분류 : 1류(200hr), 2류(500hr), 3류(2000hr)
- 용도에 의한 분류
일반용 : CGCC 일반 경질용 : CGCH
가공용 : CGCD1 구조용 : CGC340(-400, -440, -490, -570)
- 도료에 의한 분류 : 폴리에스터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수지, 염화비닐 수지
■ 표시 방법 및 기호 체계
CGCC 32(20) Z27
Z27 : 도금 부착량 표시기호
32 : 도막의 내구성 (표면 3류, 이면 2류)
20 : 표면 2류, 이면 비보증
CGCC : 재질 및 종류기호
9) 보일러용 압연 강재(SBB재)
■ 특 징
- 판 두께가 두꺼운 압력용기에 사용되며,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와 같은 방법으로 용접하고 사용방법도 비슷하나, 가장 큰 차이점은 반드시 상온 이상의 고온 압력용기에 사용되는 것임.
- 고온에서 흑연화를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의 함유량을 제한하고, 고온강도를 얻기 위하여 실리콘 탈산에 의해 결정립을 중간 정도로 해줌.
- 고온경도 측면에서 망간(Mn)에 의하기 보다는 탄소 함유량을 높여서 강도를 올린 것으로, 저온인성이 상당히 나쁘므로, 상온 이하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구조물에는 적합하지 않음.
-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SWS)보다 탄소 함유량이 높아서 용접성이 좋지 못하므로, 용접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며, 판 두께 50mm 이상의 후판. 용접 시는 충분한 예열을 해 주지 않으면 용접 균열이 발생함.
- 몰리브덴(Mo)을 함유한 SBB-46M 및 SBB-49M은, 몰리브덴을 함유하지 않은 것에 비해 고온강도가 훨씬 높고, 500℃까지 사용할 수 있으나 용접성이 떨어짐.
10) 기계 구조용 탄소강재(SM-C재)
■ 정 의
- 강괴로부터 단조비 4S 이상에 해당하는 열간 단조 또는 압연에 의해 만들어진 소재
■ 특 징
- 각종 기계 부품용 재료로 적당하며, 담금질, 침탄 담금질 및 고주파 담금질 등의 열처리를 하여사용함.
- 탄소 함유량(0.08~0.61%)이 규정되어 있음.
- 담금질 경도는 탄소 함유량에 직선적으로 증가하나, 0.6%C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함.
- 침탄 표면경화 전용강으로 SM-CK재가 규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일반용
SM-C재보다 인(P), 황(S), 구리(Cu) 및 니켈(Ni) 함유량이 적음
■ 종 류
- 일반 담금질용 : SM30C 이상
- 침탄 담금질용 : SM9CK, SM15CK, SM20CK, SM22C 이하
- 고주파 담금질용 : SM35C ~ SV45C (JIS : S45C)
■ 표시 방법 및 기호 체계
SM 45 C(K)
(K) : 침탄 표면 경화용
C : 탄소(carbon) 기호
탄소 함유량 대표치(0.45% C)
재료 표시 기호728x90반응형'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 > 기계안전기술사 10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01년 63-4-2 기계부품의 연성파괴와 취성파괴의 차이점 (0) 2025.05.03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10년 90-1-3 기계설계 표시 M18×2, SM20C (0) 2025.05.03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03년 69-1-8 강 열처리 목적 (0) 2025.05.02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1999년 57-4-1 구름베어링 접촉각 (0) 2025.04.12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1999년 57-4-1 구름베어링(Rolling Bearing) 손상 형태, 원인 및 대책 (0) 202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