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안전기술사] 재료 열처리 - 뜨임(Tempering)기계안전기술사 Study/03 기계공학(재료설계역학) 2025. 5. 2. 12:58728x90반응형
저온뜨임 (저온템퍼링)
적용온도:150~200도 경도를 희생시키지 않고, 내부응력을 제거하고자 할 때 실시
저온뜨임장점
담금질에 의한 응력제거
연마 균열 방지
치수의 경년변화 방지
내마모성 향상
고온뜨임 (고온템퍼링)
적용온도:550~630도
기계 부품에서 요구하는 인성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 실시
*뜨임조직 변화(4단계 )
가열온도 최저 80도 ~ 700도 정도이며 템퍼링 온도에 따라서 강재의 최종조직과 강도가 달라짐저온뜨임 취성( 300도 취성)
250~300도의 온도에서 뜨임했을 때 나타나는 것으로서 300도 취성이라고도 한다.
이는 Ni-Cr강에 나타 나며 뜨임 온도는 피해야 한다.
제1차 뜨임취성
450~525도의 온도에서 나타나는 취성으로 이것은 대개 강에서 나타나며, Mo이나 w을 소량 첨가하면 방지할 수있다.
제2차 뜨임취성
525~600도의 뜨임 온도로부터 서냉 했을 때만 생기는 것으로 Ni-Cr 강에 특히 현저하게 나타난다그림은 취성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뜨임할 때는 취성을 고려하여 뜨임온도를 선택해야 한다.
728x90반응형'기계안전기술사 Study > 03 기계공학(재료설계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자료] 볼트의 체결력 (1) 2025.06.26 [기계제도] 국가기술자격 CAD 실기시험용 KS 기계제도 규격 (0) 2025.06.22 [기계안전기술사] 구름베어링 vs 미끄럼베어링 특성 비교 (0) 2025.04.12 [기계안전기술사] 절삭가공 구분 및 종류 (0) 2025.04.12 축의 강도설계식과 강성설계식 (1) 2024.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