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4년 133회 133-2-1 판금 작업 시 주의사항, 프레스 및 전단기 안전수칙, 안전장치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기계안전기술사 24년 133회 2025. 4. 28. 00:19728x90반응형
1. 금속제 가구를 제조하는 업체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판금 작업 시
1) 주의해야 할 사항,
2) 프레스 및 전단기의 안전 수칙,
3) 프레스 및 전단기의 안전장치를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1. 판금 작업 개요
얇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다양한 형태로 만드는 작업 (절단, 굽힘, 늘리기 등)
자동차, 전자제품, 건축자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
종류 : 커팅, 드로잉, 폴딩, 벤딩, 펀칭 등
2. 프레스와 전단기
프레스: 금형을 사용하여 금속/비금속을 압축, 절단, 조형하는 기계
강력한 힘으로 작동하며, 다양한 제품 생산 가능
주의: 오작동 시 심각한 사고 발생 가능성 높음
전단기: 상하 칼날로 금속/비금속을 전단하는 기계
주로 금속판 절단에 사용
주의: 칼날 관리 소홀 시 절단 사고 발생 가능성 높음
3. 프레스 작업의 특징
단시간에 많은 힘을 가해 가공하므로 신체 장해를 입기 쉽다
위험 부위에 근접해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 다른 작업에 비해 위험성이 크다
대부분 소규모 기업에서 이뤄지며 다품종 소량생산 위주여서 대체로 안전대책이 미흡하다
기계 자체가 반복적인 진동과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는 데 대한 적정한 방호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금형 교환 등의 부수적인 작업이 많아 다른 가공기계보다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할 뿐 아니라 사망 등 중대 재해 발생률이 높다
4. 프레스 작업에서의 유해, 위험성
(1) 끼임
프레스 안전장치를 부착하지 않고 작업 중 금형 사이에 끼임
풋스위치를 사용해 양손으로 소재를 투입하고 꺼내는 작업 중 금형 사이에 끼임
금형 설치 및 해체작업 중 금형에 끼임
(2) 파편에 맞음
소재가 금형에 제대로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 중 파손된 금형 파편에 맞음
금형 조정작업 중 금형 파손으로 파편에 맞음
(3) 넘어짐
소재, 금형 등 중량물 운반작업 중 장해물에 걸려 넘어짐
(4) 부딪힘
2인이 공동작업 중 신호 불일치로 하강하는 슬라이드에 부딪힘
금형 등 중량물 운반용 지게차 또는 대차와 부딪힘
3. 판금 작업 시 주의사항
보호 장비 착용: 장갑, 방진 마스크 필수 (손 베임, 먼지 흡입 방지)
화상 예방: 뜨거운 판금, 열원 주의 (화상 방지)
작업 환경: 정리정돈, 정기 점검 (안전사고 예방)
운반: 큰 판금은 협력하여 운반 (낙하 사고 방지)
작업 전 점검: 프레스 방호장치 작동 여부 확인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 방지)
4. 프레스 및 전단기 작업시작전 안전점검
-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기능
- 크랭크축플라이휠 슬라이드 연결봉 및 연결나사의 볼트 풀림 유무
- 1행정1정지기구·급정지장치 및 비상정지장치의 기능
- 슬라이드 또는 칼날에 의한 위험방지 기구의 기능
- 프레스의 금형 및 고정볼트 상태
- 방호장치의 기능
- 전단기의 칼날 및 테이블의 상태 등
5. 프레스 및 전단기 안전작업 수칙
① 프레스 작업자에 대하여 특별안전작업 교육을 실시한다.
② 작업 시작 전 복장, 작업장 정리정돈, 기계 점검을 실시한다.
③ 금형의 부착시 프레스 용량을 확인하고 금형의 외관점검, 운반 및 부착방법의 순서를 정하여 신중하게 실시한다.
④ 금형의 중심잡기는 반드시 실시한다.
⑤ 금형의 조정 및 압력시험을 실시한다.
⑥ 재료 및 부품의 위치, 운반의 결정과 스크랩 처리를 정확하게 실시한다.
⑦ 작업자가 작업중 사용하는 손 발 디딤부를 일정장소에 위치시킨다.
⑧ 작업자의 자세가 무리하거나 불편하지 않도록 보조도구를 적절히 사용한다.
⑨ 급정지장치 및 안전장치 등의 기능을 수시 점검한다.
⑩ 정해진 수공구 및 지그를 사용한다.
⑪ 작업에 적합한 보호구를 사용한다.
⑫ 형의 조정, 부품의 점검, 재료의 확인, 주유, 청소 시 기계를 반드시 정지시킨다.
⑬ 오일 주유시 바닥에 흐르지 않도록 일정유량을 유지시킨다.
⑭ 작업중 언제나 프레스 상태를 점검(과부하, 이상소음, 오일, 공기, 가스누출 등) 한다.
⑮ 금형해체 및 입고는 정해진 순서와 방법대로 실시한다.
작업 전 점검: 기계 작동 상태, 비상정지 스위치 확인 (고장 및 오작동 방지)
안전 교육: 프레스 작업자는 특별 안전 교육 이수 (안전 의식 고취, 사고 예방)
협력 작업: 명확한 신호 체계 준수 (오해로 인한 사고 방지)
보호 장구: 안전화, 귀마개, 작업복 착용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으로부터 보호)
방호장치: 항상 유효한 상태 유지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
5. 프레스 및 전단기 안전장치 종류
광전자식: 신체 감지 시 급정지 (센서 활용, 빠른 반응)
양수조작식: 양손 동시 조작 (한 손으로 작동 방지, 안전성 확보)
가드식: 위험 부분 가드 개방 시 작동 중지 (물리적 장벽, 직접적인 접촉 차단)
손쳐내기식: 슬라이드 작동과 연동하여 손 밀어냄 (슬라이드와 연동, 효과적인 보호)
수인식: 슬라이드와 손 연결하여 위험 영역에서 손 빼냄 (직접적인 연결, 확실한 안전)
6. 금속 가공 기계 안전
정기 점검: 기계 설비 정기 점검 및 관리 (고장, 오작동 예방)
안전 장치: 안전 장치 작동 여부 상시 확인, 임의 해제 금지
Lockout/Tagout: 기계 수리/보수 작업 전 Lockout/Tagout 절차 준수 (작업자 안전 확보)
작업 공간: 기계 주변 작업 공간 확보 (작업자 이동 동선 확보, 충돌 사고 예방)
7. 추가 사항
응급 처치: 응급 처치 용품 비치 및 응급 처치 훈련 실시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
비상 연락망: 비상 연락망 게시 및 비상 상황 발생 시 연락 체계 확립
대피 경로: 대피 경로 확보 및 대피 훈련 실시 (화재 등 비상 상황 발생 시 신속 대피)
http://miis.kosha.or.kr/webm/nav.do?jspName=KDMS_001_press유해 · 위험 기계 · 기구 종합정보시스템
액압 클러치 프레스 슬라이드등의 작동을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작동시키는 프레스등을 말한다.
miis.kosha.or.kr
※ 판금 작업 종류 및 특징
1. 커팅 (Cutting)
정의: 레이저, 워터젯, 플라즈마 등을 이용하여 금속 시트를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절단.
특징: 높은 정밀도와 다양한 형태의 절단 가능.
2. 드로잉 (Drawing)
정의: 금속판을 깊이 있는 형태로 늘려 3차원 형상 제작.
특징: 금속의 연성을 활용하여 깊고 얇은 부품 제작 가능.
3. 폴딩 (Folding)
정의: 판금을 특정 각도로 접어 박스, 프레임, 하우징 등 제작.
특징: 접힘 각도 조절을 통해 다양한 형태 구현 가능.
4. 벤딩 (Bending)
정의: 프레스 브레이크 등을 사용하여 절단된 금속 시트를 구부려 원하는 형태 제작.
특징: 다양한 곡선 및 각진 형태 제작 가능.
5. 펀칭 (Punching)
정의: 펀치 프레스 등을 사용하여 금속 시트에 구멍이나 홈 가공.
특징: 신속하고 정밀하게 여러 개의 구멍 뚫기 가능, 주로 조립/연결부 제작에 활용.728x90반응형'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및 문제풀이 > 기계안전기술사 24년 133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4년 133회 133-2-3 갈바니 부식 정의, 영향인자, 부식방지대책, 이용사례 (0) 2025.04.28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4년 133회 133-2-2 금속 강화기구(강성향상책) (0) 2025.04.28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4년 133회 133-1-13 3D 프린터의 주요 유해·위험요인과 안전대책 (0) 2025.04.28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4년 133회 133-1-12 절삭유제 역할 및 구비조건 (0) 2025.04.28 [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24년 133회 133-1-11 철골구조물(steel structure) 정의, 장점 및 단점 (0) 202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