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2014년 102-3-6 방사선 투과시험 원리와 투과도계

2014년 102-3-6
6. 방사선투과시험의 원리와 시험에서 사용되는 투과도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해설
1.방사선투과검사 원리


2. 투과도계 (Penetrameter)
방사선과 사진의 상질을 비교 판단 또는 방사선 사진의 기준이 되는 척도.
방사선 투과사진의 상질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질지시계(IQl : Image Quality Indicator)라고도한다.
투과도계는 방사선 투과사진을 촬영할 때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하고 촬영하는데,
시험체와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표준이나 시방서에 규정된 투과도계를 사용한다.
1). 투과도계 (Penetrameter, IQI - Image Quality Indicator)
투과도계는 방사선 투과 검사에서 검사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주로 방사선 검사를 통해 검 사된 대상 물질의 검출 민감도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투과도계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시험편의 두께에 따라 적합한 크기와 형태가 된다.
투과도계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집니다:
• 검사 품질 보증: 검사 중 방사선 투과도에 따른 이미지 품질이 적절한지 확인
• 결함 크기 검출 능력 확인: 투과도계를 통해 방사선 검사에서 특정 크기의 결함을 식별할 수 있는지 확인
• 비교표준 제공: 검사 후 필름이나 디지털 이미지에서 투과도계를 비교하여 해당 검사가 설정된 표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과도계는 가느다란 철선 또는 계단식 두께 변화를 가진 형태로, 방사선 투과 후 이 철선이나 두께 변화가 필름 또는 이미지에 얼마나 명확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데 이는 검사 과정의 민감도를 평가 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2) 계조계 (Step Wedge)
계조계는 방사선 검사에서 이미지의 계조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계조란 밝은 부분부터 어두운
부분까지의 색상 변화의 정도를 의미하며, 방사선 투과 검사에서 중요한 이미지 품질 요소 중 하나이다. •계조계는 여러 단계의 두께를 가진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단계는 방사선에 대한 다른 투과율을 가진 다.
방사선을 투과한 후 필름이나 디지털 이미지에서 각 두께의 단계를 얼마나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지를 확 인함으로써 이미지의 대비와 해상도를 평가할 수 있다.
계조계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집니다:
• 이미지 대비 평가: 이미지의 대비 수준을 평가하여 결함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
• 영상 품질 개선: 계조계에서 모든 단계가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도록 방사선 강도, 노출 시간 등을 조정하여 검사 품질을 향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