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안전기술사] 문제풀이 133회 133-1-10 방사선검사 투과사진

10. 방사선검사 시 투과사진에 나타나는 결함이 필름상에서 건전 부위 보다 어둡게 나타나는이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풀이
답)
방사선 투과검사(RT) 필름상 어둡게 나타나는 이유
시험체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방사선이 투과되면서 물체와의 상호작용에 비파괴검사 의해 점차적으로 약해진다.
특히, 용접부의 경우 블로우홀(기공) 등의 결함 부분이 건전부에 비해 방사선이 잘 투과되므로 필름 위에 검은상으로 나타난다.
1. 방사선의 투과 원리
- 방사선은 물질을 통과할 때 밀도와 두께에 따라 감쇠됨
- 결함 부위는 일반적으로 건전 부위보다 밀도가 낮거나 두께가 얇음

2. 결함 부위의 특성
- 기공, 균열, 슬래그 혼입 등의 결함은 주변 금속보다 밀도가 낮음
- 언더컷과 같은 결함은 두께가 얇아짐
3. 방사선 투과량 차이
- 결함 부위: 방사선 투과량이 많음
- 건전 부위: 방사선 투과량이 적음
4. 필름의 감광 원리
- 방사선에 노출된 정도에 따라 필름이 감광됨
- 더 많은 방사선에 노출된 부분이 더 어둡게 나타남
5. 결함 부위의 필름 감광
- 결함을 통과한 많은 양의 방사선이 필름을 더 많이 감광시킴
- 결과적으로 필름에서 결함 부위가 더 어둡게 나타남
- 큰 결함일수록 더 어둡게 나타남
- 깊은 결함일수록 더 뚜렷하게 나타남
6. 대표적 결함예시
1) 균열
일반적으로 직선의 형태가 아닌 구불구불한 불규칙한 검은 선으로 나타남
2) 슬래그 혼입
X-선을 많이 통과시켜서 사진상에 검은 모양, 불규칙한 형태의 어두운 영역을 만듬.
3) 블로우홀(기공)
금속이 비어 있는 원인 때문에 방사선 사진상에 구형의 검은 점 모양으로 나타남.
4) 언더컷
용접 가장자리를 따라 어두운 선으로 나타남


2014년 102-3-6
6. 방사선투과시험의 원리와 시험에서 사용되는 투과도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투과도계 (Penetrameter)
방사선과 사진의 상질을 비교 판단 또는 방사선 사진의 기준이 되는 척도.
방사선 투과사진의 상질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질지시계(IQl : Image Quality Indicator)라고도한다.
투과도계는 방사선 투과사진을 촬영할 때 시험체의 표면에 부착하고 촬영하는데,
시험체와 같은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표준이나 시방서에 규정된 투과도계를 사용한다.


